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

피아제의 인지 발달 단계 아이들은 생후 2년 동안에 피아제가 이 시기를 다시 6개의 하위단계로 구분할 정도로 많은 인지적 수행과 구조를 새롭게 형성해간다. 초기에는 빨기와 잡기와 같은 단순한 감각적 반사만으로 환경에 적응하며, 심상 능력도 없고 상징이나 언어에 의존하는 사고과정도 없다. 아이들은 젖꼭지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것을 빨기 도식에 동화시킨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손 움직임과 쳐다보기가 통합된 행동을 보이는 등 단순하지만 비교적 조직화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생후 수개월이 지나면 여러 신체 부위들이 협응을 하게 되고, 행동 유형도 차츰 복잡해진다. 아이들이 기어 다니고, 또 걸어 다니기 시작하면서 주위에 대해 강한 호기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 시기의 말경에 아이들은 자신의 활동과 그 결과 간의 관계를 이해할 수.. 2021. 8. 26.
발달심리학의 개념 인간 발달의 속성에 대한 설명들은 고대 그리스의 문헌들에서도 자주 발견되지만, 인간 발달에 관한 과학적 연구는 19세기 후반부터 그 기틀을 잡기 시작하였다. 그 이전까지는 아기들이 이미 만들어진 성인의 축소판으로 세상에 태어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단순히 아동과 성인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여겼다. 아동들의 신체, 언어, 인지 등의 능력이 성인과 다르다는 생각은 몇몇 학자들이 자신들의 자녀를 관찰한 결과를 세상에 내보이면서 서서히 움트기 시작하였다. 영국의 찰스 다윈이나 독일의 생리학자 Wilhelm Preyer 그리고 미국의 Stanley Hall 등의 연구들은 그때까지 사색적이며 철학적이던 아동 발달 연구를 보다 체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1950년대까지 .. 2021. 8. 26.
심리학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은 연구자 자신의 직접적인 관찰이나 측정을 통하여 할 수도 있고, 타인에 의해 기록된 기록물이나 문헌을 조사하여 할 수도 있다. 연구자가 직접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은 관찰 대상자를 제삼자가 관찰 및 측정하는 객관적 관찰과, 관찰 대상자에게 질문하여 응답을 얻어내는 내성에 기초한 관찰로 구분할 수 있다. 객관적 관찰은 관찰 대상자를 연구자가 직접 관찰 및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관찰자는 관찰할 내용을 기재해 놓은 점검표를 사용하거나, 평정척도나 의미분척과 같은 평정척도를 이용하거나, 줄자, 저울 시계, 혈압계, 심전도계 등과 같은 기계나 도구를 사용하여 관찰 및 측정을 할 수 있다. 객관적 관찰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는 자료는 사물의 물리적인 속성이나 인간 및 동물의 외현적 행동과 각종 생리적 반응.. 2021. 8. 26.
심리학 자료수집 연구 설계가 결정되면, 이에 따라 관련 변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자료란 연구생을 측정한 결과들의 집합을 말한다. 측정은 관찰대상에 대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치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측정이라는 용어는 관찰이라는 용어보다는 좀 더 협의적이고 구체성을 갖는 것이지만, 대체로 비슷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추적대상은 사람, 동물, 사물, 사건 등이고, 측정되는 내용은 이 대상이 가진 어떤 속성, 즉 변인이 된다. 측정의 정의에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따른다'고 하는 것은 측정대상의 속성과 수치의 속성을 정해진 규칙에 근거하여 대응시킨다는 것을 말한다. 대상의 길이라는 속성을 잰다고 하는 경우 수치가 부여되는 규칙은 길이가 더 긴 것에 더 큰 수치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런 규칙.. 2021. 8. 26.
반응형